오늘은 1주택자 전세대출 한도 및 대상주택 금리 등을 전반적으로 체크해보겠습니다. 주요 내용은 큰 차이가 거의 없고, 금리 등 세부내용만 약간씩 다르다는 개념을 갖고 글을 읽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1주택자 전세대출 한도 : 최대 3억
1주택자의 전세대출 한도는 최대 3억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정부가 규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은행이나 동일한 사항입니다.
- 한국주택금융공사 : 최대 2억2천2백
- 주택도시보증공사 : 최대 2억2천2백
- 서울보증보험 보증 대출 : 3억
단 주택금융공사가 보증하는 대출은 2억2천2백만원으로 한도가 제한됩니다. (전세대출은 DSR이 적용되지 않고 DTI가 적용됩니다)
때문에, 본인주택에서 주거가 어려운 상황에서 3억이라는 대출로는 원하는 컨디션의 전세집을 구하기 어려운 분들은, 월세나 반전세 등을 고려히셔야 합니다.
2. 1주택자 전세대출 한도 : 대출 조건
1) 대출 가능한 분
- 본인과 배우자의 합산 주택보유수가 무주택 또는 1주택인자
- 2020년 7월 10일 이후 본인과 배우자가 투기, 투기과열지구 취득가격 3억초과 아파트를 취득하지 않은 자 : 서울시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용산구
- 소득증빙이 가능한 고객 : 직장인 사업자 등
현재 투기지역은 서울시의 4개구만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외에 지역에 주택을 갖고 있는 분들은 모두 전세대출이 가능합니다.
구입시점에 주택 소재지가 규제 대상 지역이었으나, 대출신청일 현재 규제 지역이 아닌 경우에는 대출이 가능합니다.
2) 대출 불가능한 분
- 2주택자
- 2020년 7월 10일 이후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용산구에 3억초과 아파트 취득한 분
- 소득증빙 불가능한 분
직장인 사업자가 아니라, 다른 소득이 있는 분들, 예를 들어 연금소득 등이라면 경우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니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2023년 1월까지는 9억원 초과 주택 보유, 그리고 부부합산 소득이 1억원 이상인 분이라면,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서울보증보험 등의 공적보증이 불가능했으나, 현재는 해당제도는 폐지되었습니다.
즉 현재는 9억 초과 주택을 보유한 분, 그리고 부부합산 소득이 1억을 초과해도 전세 대출이 가능합니다.
3. 1주택자 전세대출 한도 : 대상주택
- 대상주택 : 아파트, 연립, 다세대
- 대상불가주택 : 다가구주택
다가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대출이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가구는 하나의 건물에 여러 세대가 살수 있도록 지어진 단독주택으로 단독주택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다만, 직업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가령 직장인의 경우 아파트 오피스텔 빌라 어디나 대출이 가능하지만, 프리랜서라면 어떨까요? 이 경우 아파트에 한해서만 대출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본인이 직장인이 아닌 개인사업자 라거나 기타소득으로 생활하시는 분이라면 직접 지점에 방문해 상담을 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4. 1주택자 전세대출 한도 : 금리
이 글을 25년 4월 16일 작성된 글이고, 현재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2.75%입니다. 현재 전세대출 금리는 3%~5% 수준에서 결정되고 있습니다. 은행별로 큰 차이는 없습니다.

금리가 낮은 순으로 정리를 해봤습니다. 1주택자가 아닌 무주택 상품도 포함된 것이니 참고바랍니다.
👉 전세대출 금리비교 TOP18 이자 한도 등 25년ver
5. 1주택자 전세대출 한도 : 유의해야 할점
지금까지 1주택자의 전세대출 한도와 금리 대상주택 등을 알아 봤는데요. 이는 사실 ‘직장인’을 기준으로 한것에 가깝습니다.
직장인이 아닌 개인사업자이거나, 혹은 사업소득 외에 기타소득이 있는 분이라면 대출의 조건과 대상주택이 달라질수 있습니다.
가령, 나는 1주택자인데, 현재 퇴직해 공무원 연금 수령중인 분들이라면 어떨까요? 대출이 가능할 수도 있고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용대출이 이미 1억이 있는 상항이라면 어떨까요? 대출이 거절될 확률도 크게 올라가고, 대출이 가능하더라도 아파트 외 다른 주택은 대출이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이는 심사하는 은행원이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뭐라 딱 잘라 말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시중은행은 대출심사가 빡빡한 편이니, 시중은행에서 대출이 거절되면, SC제일은행 같은 외국계 은행에도 문의를 해보시고, 인터넷은행도 문의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대출이 거절된다면, 보험사, (지역)농협, 새마을금고 등의 2금융 전세대출을 알아보셔야 합니다.